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구름의 종류

by 혀니톡톡 2024. 7. 3.

구름은 형태와 고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구름의 형태는 권운 형태, 적운 형태, 층운 형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권운 형태는 얇고 흰 특징을 보이고, 적운 형태는 평평한 구름 밑면과 솟아오른 둥근 천장이 특징이며 층운 형태는 하늘 대부분 또는 전체를 덮는 홑이불 같은 특성을 보입니다. 고도에 따라서는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연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상층운은 6,000m 이상, 중층운은 2,000~6,000m, 하층운은 2,000m 이하의 고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지만, 이러한 기준 고도는 위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한편 연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은 정의상 별도의 기준 고도를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구름의 형태와 구도를 조합하면 구름의 종류를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상층운부터 살펴보면 권운, 권적운, 권층운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권운은 가장 흔한 상층운으로 바람에 날려 얇고 긴 깃털 같은 형태를 띠며, 일반적으로는 맑은 날 관측됩니다. 권적운은 권운에 비해서는 자주 관측되지 않는데 하나하나의 작고 둥근 하얗게 부풀어 오른 덩이 형태가 모여 있거나 줄지어 서 있는 형태를 띱니다. 권층운은 종이처럼 얇게 펴진 형태의 구름으로 때때로 하늘 전체를 덮습니다. 너무 얇기 때문에 권층운이 존재하더라도 해나 달이 뚜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구름 내부의 얼음 결정이 빛을 굴절시켜 때때로 무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사실 권층운은 너무 얇기 때문에 직접 눈에 보이지 않고 무리를 관측함으로써 그 존재를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꺼운 권층운은 저기압 폭풍의 전면부에서 자주 관측되며, 특히 중층운이 뒤이어 관측되는 경우에는 12시간에서 24시간 이내의 비나 눈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중층운에는 고적운과 고층운이 있습니다. 고적운은 회색의 부풀어 오른 덩이 형태를 띠며, 권적운과 더불어 때때로 양떼구름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보통 고적운의 몇몇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더 어두운 특성을 갖는데, 이를 통해 권적운과 고적운을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고적운의 개별 구름 덩이는 권적운에 비해 더 큽니다.

한편, 작은 성 모양의 고적운은 구름이 있는 고도에서 상승 기류가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따뜻하고 습한 여름 아침에 이러한 고적운이 존재하는 경우, 때때로 늦은 오후에 뇌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층운은 회색 또는 청회색을 띠는 구름으로, 종종 전체 하늘을 뒤덮습니다. 고층운의 얇은 부분을 통해서는 해 또는 달이 둥근 원반 형태로 희미하게 비치기도 합니다.

두꺼운 권층운은 때때로 얇은 고층운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회색 빛깔, 고도, 해의 희미할 정도는 고층운을 권층운과 구별하기 좋은 기준입니다.

고층운은 넓은 지역에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강수를 일으키는 중위도 저기압 폭풍의 전면부에서 자주 관측됩니다. 고층운은 아주 드물게 약한 눈 또는 비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하층운에는 난층운, 층적운, 층운이 있습니다. 난층운은 어두운 회색을 띠며, 지속적인 강수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강수 강도는 보통 약하거나 중간 정도이며, 잘 발달된 적운이 난층운에 겹쳐져 있지 않는 한 절대 호우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난층운은 자주 고층운과 혼동되는데, 난층운이 일반적으로 두꺼운 고층운보다 더 어두운 회색을 띱니다. 층적운은 열을 지은 낮고 울퉁불퉁한 개별 구름으로 구성됩니다. 일몰 즈음에 적운의 잔해가 퍼지면서 자주 형성됩니다.

층적운의 색깔은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까지 다양하게 분포합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구름 바닥의 고도와 더 큰 개별 구름 덩이로 고적운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층운은 균질한 회색빛 구름으로 자주 전체 하늘을 뒤덮는데, 일반적으로 층운은 강수를 동반하지 않지만, 종종 박무 또는 이슬비를 동반합니다. 난층운이나 고층운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난층운에 비해 균질하고 비를 동반하지 않는 특성, 고층운에 비해 더 낮고 더 어두운 회색이라는 점에 근거하여 구별할 수 있습니다.

연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에는 적운, 적란운이 있습니다. 적운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익숙한 형태로, 평평한 바닥과 솟아오른 천장을 가진 떠다니는 솜 덩어리 형태를 띱니다.

하얀색에서 밝은 회색을 띠며, 층적운과는 달리 개별 구름 덩이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또한 적운은 꼭대기가 돔 또는 타워 형태를 띠지만, 충적운은 꼭대기가 평평한 편입니다.

적운은 맑은 날씨와 관련되어 있어 갠날적운이라 불립니다. 따뜻한 여름 아침에 발생한 갠날적운은 오후까지 연직 방향으로 더 성장하여 콜리플라워 모양의 웅대 적운이 될 수 있습니다. 웅대 적운에서는 소나기 형태의 강수가 발생합니다. 웅대 적운이 연직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발달하면 적란운이 됩니다.

적란운의 바닥은 보통 600m보다 높지 않지만 꼭대기는 대류권 계면까지 닿습니다. 적란운은 보통 호우와 함께 천둥, 번개, 토네이도를 동반합니다.